본문 바로가기

재테크불리기

자산 포트폴리오 예시 (달걀이론 리밸런싱 올웨더 인덱스ETF TDF)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여러분과 함께 경제적 자유를 이루고 싶은 "제텤" 입니다!

이전에 통장 쪼개기를 했듯이, 우리 자산 또한, 쪼개어서 분산 관리하는 포트폴리오가 필요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너무 부동산에 치우쳐져 있는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물론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부동산 불패라고 해서 부동산 투자 수익률이 좋았지만, 앞으로도 부동산 투자 수익률이 좋으리란 보장은 없습니다. 또, 어떤 자산에 투자하는 게 좋을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도 없고 모릅니다. 따라서 안전하게 여러 분야에 고르게 투자를 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위험을 분산해야합니다.

 

금리가 정점을 찍고 저점으로 갈 때에는(하강) 예금을 인출하고 채권을 매도해야 하며, 부동산을 매입해야 합니다. 

반면, 금리가 저점에서 정점으로 갈 때에는(상승) 부동산을 매각하고 주식을 매도하며, 예금에 가입해야 합니다.

주식 투자를 해본 사람이라면 "달걀을 한바구니에 담지 말라" 라는 말을 한번 쯤 들어보셨을 거에요.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는다면, 바구니를 떨어뜨렸을 때 모든 달걀이 깨질거에요. 이렇듯 위기가 닥쳤을 때 자산이 모두 무너지는 것을 막고 살아남은 종목으로 버틸 수 있습니다.

자산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구성하는지는 수만가지의 방법이 있는데요. 대표적인 것 몇가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로, 올웨더(올시즌, 사계절) 포트폴리오 입니다.

레이 달리오는 이 올웨더 포트폴리오로 40년동안 4년을 제외하고 모두 수익이 났다고 합니다. 심지어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일어났었던 2008년도에는 14%의 수익이 났습니다. 즉, 위험한 경제 상황에서 더 빛을 바라는 포트폴리오입니다.

장기채권 40%, 중기채권 15%, 주식30%, 금 8%, 원자재 7%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튜버 김단테님도 이 올웨더 포트폴리오로 큰 수익을 얻으셨죠.

상품으로는 RPAR ETF 가 대표적인 올웨더 포트폴리오 투자방법입니다. 평균적으로 7.5~12%의 수익이 났다고 합니다.

 

두 번째로, 지구와 달(core-stellite) 전략입니다.

자산을 안정적인 채권, 현금, 부동산 등과 공격적인 주식 등으로 이분법으로 나눠 비중을 바꿔가며 운영하는 것인데요.

채권과 주식을 5:5, 6:4, 7:3, 8:2, 9:1 으로 주식 비중이 50%가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진 전략입니다.

코어인 지구가 안전자산이며, 달은 공격자산을 의미합니다.

 

세 번째로, 두집살림(트레이딩)전략입니다.

자산 군을 두가지 정해놓고, 시장의 상황과 본인 판단으로 100%의 자산을 왔다갔다 옮기는 전략입니다.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가 일정 기준에 도달하면 전량 매매하는 방식으로, 시장 상황이 안 좋으면 채권을 전량 매도하고 주식을 전량 매수하며, 시장 상황이 좋으면 주식을 전량 매도하고 채권을 100% 매수하는 랩 어카운트 방식입니다. 마켓 타이밍을 스스로 정해 재테크 고수들에게만 적합하며 위험한 방식입니다.

 

네 번째로, 영구 포트폴리오입니다.

비율을 현금 주식 금 채권 각각 25%씩 유지하는 전략입니다. 비율이 일정하기 때문에 따라하기 쉬우며, 필수적인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상품으로 구성해 본다면 채권은 kodex 미국 울트라 30년 선물H 25%, 주식은 미국S&P 500선물 25%, 골드선물H 금 25%, 현금MMF 25% 로 투자할 수 있겠습니다.

 

다섯 번째로, TDF(Target date fund) 상품입니다.

TDF는 본인 생년월일 + 나이로 펀드이름이 생성되는데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주식비중은 낮추고 채권비중을 높이면서 점차 안정을 추구합니다. 이 펀드에 가입하면 나이에 따라 주식과 채권의 비율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손쉽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서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통 주식 투자비율을 (100 - 나이)% 이거나,  (80-나이)% 로 보고, 나머지 비율은 채권등의 안전자산에 넣는데 이러한 원리대로 움직이는 게 바로 TDF 상품입니다.

 

 

이렇게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다가 자산이 커지면 1년에 한번 정도 정기적으로나, 코로나19 등의 특수한 상황인 경우에는 수시로 자산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해줘야 합니다. 자산군, 종목별, 금액으로 분류해서 다시 리밸런싱하며 투자합니다.

반응형
LIST